본문 바로가기

정보처리기사8

[정보처리기사] - 자료 구조 자료 구조- 자료 구조는 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을 말한다.- 저장 공간의 효율성과 실행시간의 단축을 위해 사용한다. 선형구조- 배열- 선형 리스트     - 연속 리스트    - 연결 리스트- 스택- 큐- 데크 비선형구조- 트리- 그래프 배열 ( Array )- 크기와 타입이 동일한 자료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자료의 집합- 반복적인 데이터 처리 작업에 적합한 구조- 정적인 자료구조로, 기억장소의 추가가 어렵다- 데이터 삭제 시 기억장소가 빈 공간으로 남아있어 메모리의 낭비가 발생 연속 리스트 ( Contiguous List )- 연속 리스트는 배열과 같이 연속되는 기억장소에 저장되는 자료 구조이다.- 중간에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빈 공간이 있어야 한다.- 삽입, 삭제 시 자.. 2024. 7. 15.
[정보처리기사] - 데이터베이스 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- 데이터베이스 보안이란 데이터베이스의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. 암호화 (Encryption)- 암호화는 데이터를 보낼 때 송신자가 지정한 수신자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것이다. 암호화 과정 :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과정복호화 과정 : 암호문을 원래의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 암호화 기법- 개인키 암호 방식- 공개키 암호 방식 접근통제- 접근통제는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하는 것이다. 접근통제 3요소- 접근통제 정책- 접근통제 매커니즘- 접근통제 보안모델 접근통제 기술정책특징임의 접근통제 - DAC(Discretionary Access Control)- 데이터에.. 2024. 7. 15.
[정보처리기사] - 트랜잭션 / 클러스터 트랜잭션과 클러스터에 관한 정리... 트랜잭션 (Transaction)-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.-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로 사용된다. 트랜잭션의 특징특성의미Atomicity (원자성)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 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(Commit) 되든지 아니면 모두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(Rollback) 되어야함Consistency (일관성)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함Isolation (독립성, 격리성, 고립성)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.. 2024. 7. 14.
[정보처리기사] - 정규화 / 반정규화 정규화와 반정규화를 알아보기 앞서 이상과 함수적 종속에 대해 알아보자. 이상 (Anomaly)- 이상이란 테이블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고, 그로인해 테이블 조작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이다.- 이상의 종류로는 테이블 조작 중에 발생하는 삽입 이상, 삭제 이상, 갱신 이상 이렇게 있다. 삽입 이상 (Insertion Anomaly)-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. 삭제 이상 (Delete Anomaly)- 테이블에서 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현상. 갱신 이상 (Update Anomaly)- 테이블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불.. 2024. 7. 13.